반응형
집중투표제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. 집중투표제는 주주총회에서 이사나 감사와 같은 주요 임원을 선출할 때 사용되는 투표 방식 중 하나입니다. 일반적인 투표 방식인 보통투표제와 달리, 집중투표제에서는 주주가 가진 모든 의결권을 특정 후보에게 집중적으로 행사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MDQh/btsLS7meGDd/EYuLTxknj0FuGpZaKh6kU0/tfile.webp)
예를 들어, 한 주주가 100주의 주식을 가지고 있고, 5명의 이사를 선출해야 한다면, 보통투표제에서는 각 후보에게 100표씩만 행사할 수 있습니다. 반면, 집중투표제에서는 500표를 특정 후보 한 명에게 몰아서 투표할 수 있습니다.
이러한 방식은 소수주주의 권익을 보호하고, 대주주의 독점적인 의사결정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도입되었습니다. 대주주가 많은 의결권을 가진 경우, 보통투표제로는 소수주주가 자신의 의견을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집중투표제를 활용하면 소수주주도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가 선출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집중투표제는 특히 지배구조 개선과 경영 투명성 강화를 위해 활용됩니다. 그러나 반대로, 일부에서는 이를 악용해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해 경영진을 교체하거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znoU/btsLTRJG7UR/iJeyM5lixK2ftAWeSCWfW0/tfile.jpg)
따라서 집중투표제의 도입 여부는 기업의 상황과 주주 구조를 고려해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.
이상 집중투표제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.
반응형
'경제와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B발행과 주가 관계 알아보겠습니다 (0) | 2025.01.22 |
---|---|
관치금융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(0) | 2025.01.21 |
프라이빗 뱅킹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(0) | 2025.01.21 |
어닝쇼크 뜻 알아보겠습니다 (0) | 2025.01.21 |
희소성의 원칙 뜻 알아보겠습니다 (0) | 2025.01.20 |